본문 바로가기

여행/국내여행

인천 자장면 짠맛은 줄었으며 달척지근하고 구수한 맛

 

검은 색이나 단맛의 국수인 인천 자장면은 인천 차이나타운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구한말 청나라 상인들이 자리를 잡은 지역에서 현재도 화교들이 모여 장사를 하고 있다. 화교 음식은 다양한데 그 중에 자장면이 가장 유명하다. 자장면은 장을 볶아 올린 국수라는 뜻이다. 중국의 장은 콩과 밀을 찌고 소금을 더하여 발효한 음식인데 중국에서는 첨면장 또는 첨장이라고 한다. 중국의 산동성에서는 이 첨면장을 돼지고기와 함께 볶아 국수에 올려 먹는 음식이 오래 전부터 있엇다 이 음식이 한반도에 들어와 자장면으로 변하였는데 많이 변형된 것이 첨면장이다. 장의 색이 검어지고 짠맛은 줄었으며 달척지근하고 구수한 맛이 강화되었고 이름도 춘장으로 바뀌었다.

 

 

음식은 사람을 따라 옮겨다닌다고 한다. 자장면은 중국인이 한반도에 이주하면서 가지고 온 음식이다. 중국인이 한반도에 본격적으로 진출한 것은 1882년 임오군란 때이다. 당시 청나라 군대와 함께 화교 상인 40여명이 들어왔고 1884년 인천에 청국조계가 설정되면서 본격적으로 화교들이 이주하여 이 지역에 정착하였다. 이 때의 청요릿집은 기생이 있고 마작을 할 수 있으며 숙박업도 겸하였다. 공화춘, 송죽루, 중화루, 평화각, 빈해루 등의 이름은 이때 부터 널리 알려지기 시작했다.

 

 

한국에서는 공장 춘장이 나오자 원가는 떨어지고 일이 쉬워지면서 1960년대에 들어서 한국 자장면의 맛을 획기적으로 바꾸는 재료인 양파가 등장하였다. 이 때 정부의 분식 장려가 있어으며 자연적으로 자장면 집이 많아지게 되었으며 맛도 점점 한국인의 입맛으로 변해가고 자장면을 만드는 사람도 한국인이 점차 많아지면서 이제는 자장면은 중국음식이 아닌 한국 음식으로 바꾸어지게 되었다. 저렴한 가격의 싼 국수로서 한국의 서민을 상대로한 음식이 되었다.

 

 

1992년 한국과 중국의 외교관계가 정상화되면서 차이나타운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한국에서도 차이나타운이 지자체의 지원으로 화교들이 모여들게 되어 음식점을 열었다. 1905년 개업한 공화춘이 1984년 페업하여 버려져 있었는데 2012년 4월 말 이 건물에 짜장면 박물관을 열게 되었다. 차이나타운에는 관광객들로 크게 붐비면서 대부분 한국인들은 이곳에서 자장면을 먹어본다. 자장면의 발상지에 왔으니 자장면을 먹고 가야 한다는 생각이 머리에 박혀있어서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