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건강에 좋은 음식

서천 물메기, 말린 물메기를 맑은 탕으로 감칠맛을 내어보자

 

 

겨울이면 우리나라 연근해에 물메기가 몰려온다. 산란을 하기 위해서이다. 충남 서천 앞바다에도 겨울이면 물메기가 찾아온다. 겨울 찬바람이 불어 꽁꽁 언 몸을 녹여주는 물메기탕 한 그릇을 하러 서천을 찾아가자. 물메기의 표준어는 꼼치이다. 꼼치는 우리나라 바다에는 전지역에세 나는데 곰치, 물곰, 미거지, 물미거지, 잠뱅이 물잠뱅이 등으로 불리고 있다. 남해에서 부르던 이름이 물메기로 최근 가장 크게 번진 이름이다.

 

 

정약전의 [자산어보]에는 물메기의 정식 명칭을 해점어라고 하며 점어란 메기를 말한다. 우리말로 하면 바다메기이다. '맛이 순하고 술병에 좋다'고 [자산어보]에 적혀있다. 조선시대에도 즐겨 먹었다는 말이다. 물메기는 동중국해에서 여름을 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겨울에 알을 낳기 위해 연안으로 이동을 하는데 산란기는 12월에서 이듬해 3월까지인데 이때가 가장 맛이 있다고 한다. 산란을 하면 대부분 죽고 만다.

 

 

서천 앞바다는 봄 주꾸미, 가을 전어로 유명하고 자연산 광어가 많이 잡히는 바다이기도 하다. 겨울이면 아귀와 함께 물메기가 많이 잡힌다. 홍원항에서 출항하여 안강망을 사용하는데 안강망은 조류가 빠른 곳에 설치하는 그물로 조류에 밀린 물고기들이 그 안에 들어가 잡히게 되는 것이다. 안강망은 조류의 변화에 따라 그물이 뱅뱅 돈다고 하여 어부들은 뱅뱅이라고 부른다.

 

 

 

서천 물메기의 요리는 생으로 회를 먹기보다는 말려서 찌거나 탕을 해서 먹을 경우가 많았다. 탕을 해먹는 방법은  입맛에 따라 매운탕 또는 맑은탕을 끓인다. 요즈음은 물메기탕이 전국으로 번져나가 삼척에서는 묵은지 넣은 물메기탕이 제일 인기가 높고 남해와 서해는 무와 대파 그리고 마늘만 들어간 맑은 탕으로 끓여 먹는다. 물메기는 지방이 극히 적고 아미노산이 풍부하여 순한 감칠맛을 내는 데에는 최고의 생선이라고 말하고 있다.

 

 

물메기는 말리면 미끄덩거리는 질감이 없어진다. 여기에 껍질을 벗겨 말리면 살의 부드러움이 더 좋아진다. 그라나 말린 물메기는 산지에서도 귀하다. 생것으로 잘 팔려가기 때문에 말릴 필요가 없어서 이다. 생것을 요리하는 것보다 말린 물메기를 요리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서천 물메기는 회로는 잘 먹지 않는다. 그 이유는 질감이 좋지 않기 때문이다. 물메기의 질감은 미끄럽다는 것이다. 생것을 요리를 하여도 껍질의 질감이 미끄덩 거리고 살에도 점액이 흘러 썩 좋은 느낌이 들지 않는다. 손에 미끄러운 액체가 묻어나는 느낌을 받게된다.

 

 

 

<어떤 금전적 지원도 받지않았으며 단순 정보제공을 위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