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레반은 아프가니스탄에서 결성된 무장 이슬람 정치단체로 1994년 아프가니스탄 칸다하르에서 결성된 이슬람 수니파 무장 정치조직으로 1996년부터 2001년까지 아프가니스탄을 지배했다. 하지만 엄격한 이슬람 율법통치와 인권침해로 국제사회의 비난을 받았고 2001년 9.11테러의 배후자로 지목된 오사마 빈 라덴에 대한 미국의 신병 요구를 거부하면서 보복공격을 받아 그해 11월에 붕괴되었다. 2021년 8월 15일 수도 카불을 장악하면서 20년 만에 정권을 재장악했다.
1994년 아프가니스탄 남부 칸다하르에서 결성된 이슬람 수니파 무장 정치조직으로서 결성 당시부터 군정세력으로 출발해 이슬람 이상국가 건설을 목표로 무장투쟁을 전개했다. 탈레반은 결성 당시인 2993년부터 이미 아프가니스탄 국토의 80% 정도를 장악했으며 이듬해인 1995년에는 수도 카불을 점령하기에 이른다. 카불 점령 후에는 나지불라 전 대툥령 형제를 공개 처형하고 과도정부를 세워 이슬람공화국을 선포했다. 탈레반은 아프간 최대 언어인 파슈토어로 학생이다.
탈레반은 1996년부터 2001년까지 아프가니스탄을 지배했는데 부정부패를 없애는 데 힘을 쏟는 한편 엄격한 이슬람 율법통치를 강행하고 여성과 아동에 대한 인권침해로 국제사회의 거센 비난을 받았다. 여성의 고등교육과 취업, 자유로운 외출을 규제한 것은 물론 부르카 착용을 의무화하고 이를 어기면 돌로 쳐 죽이는 잔인성을 드러냈다. 2001년 3월에는 우상화 배격운동의 일환으로 모든 불상을 파괴한다며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바미얀 석불을 파괴하기도 했다.
현재 탈레반을 이끄는 사람은 이슬람 율법학자 출신인 하이바툴라 아쿤자다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아쿤자다 밑에는 무하마드 야쿱, 압둘 가니 바라다르, 시라주딘 하카니 등 3명의 부지휘관이 있는데 이들은 각각 탈레반의 군사작전, 외교 및 대외소통, 군수물자 조달 및 재정 등을 담당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하이바툴라 아쿤자다는 탈레반 근거지인 남부 칸다하르 태생으로 2016년부터 탈레반의 종교, 정치, 군사 등 주요 결정을 관장하고 있다. 은둔형으로 믿는 자들의 리더이다.
무하마드 야쿱은 탈레반 창립자 물라 무함마드 오마르의 아들로 아쿤자다의 전임자인 하흐타르 무하마드 만수르가 2016년 미군의 드론 공격으로 숨졌을 때 탈레반 내부에서는 야쿱을 새 지도자로 추대하려는 움빅임이 있었다. 당시 야쿱 본인이 자신이 너무 어리고 전쟁 경험이 없다며 아쿤자다를 지도자로 내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부친의 후광을 감안하면 야쿱이 탈레반의 새 지도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압둘 가니 바라다르는 지난해 9월부터 카타르 도하에서 시작된 아프간 정부와의 평화협상을 주도했다. 지잔달 말 중국 톈진에서는 왕이 중국 외교부장과 회담하며 중국의 지원을 촉구하는 등 협상 기술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오마르와 함께 탈레반을 공동 창립했으며 오마르가 가장 신뢰하는 인물이었다는 평도 받고 있다. 2010년 아프간 정부군에 체포됐다가 2018년에 석방되었다.
시라주딘 하카니는 탈레반 산하의 무장단체 하카니 네트워크의 수장이다 .그는 과거 옛 소련이 아프간을 침공했을 때 무장투쟁을 주도한 잘랄루딘 하카니의 아들이다. 하카니 네트워크는 1990년대 후반부터 탈레반과 협력했으며 이후 여러 테러를 배후 조종했다. 하카니 또한 2008년 수도 카불에서 일어난 호텔 테러에 연관됐다는 혐의로 미 연방수사국의 수배 명단에 올랐다. 당시 테러로 미국인을 포함해 총 6명이 숨지자 미국은 그에게 500만 달러의 현상금을 내걸었다.
'IT >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라톤의 동굴의 비유로 보는 우리 정치권의 오류 (0) | 2022.12.30 |
---|---|
구성주의와 정치인들의 생각 (1) | 2022.10.26 |
아프리카돼지열병 (0) | 2020.09.18 |
쿠르드족 터키 아라크 이란에 걸친 쿠르디스탄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0) | 2020.09.18 |
사모펀드 (0) | 2020.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