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는 일이 자자진다면 자연스로운 노화 과정의 일부분일 수 있지만 알츠하이머 치매의 초기 징후일 수도 있다. 기억력은 나이가 들어가면서 점점 떨어진다. 치매를 일으키는 대표적 퇴행성 뇌질환인 알츠하이머병은 65세 인구에게서 주로 나타나는데 한 번 발생하면 되돌리기 어려운 질병이다. 우울증, 약물 부작용, 알코올 남용, 비타민 B12부족, 갑상선기능저하증, 사별이나 은퇴로 인한 걱정이나 스트레스 등도 기억력 손실의 원인으로 손 꼽힌다.
기억력이 떨어진다고 해서 이를 치매로 단정 짓기보다는 노화로 인한 기억력 손실과의 차이를 알아두는 것이 보다 정확한 증세를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된다. 예상치 못한 행동을 할 때가 있다. 엉뚱한 장소에 물건을 갔다 놓는 다든지 다른 사람의 물건을 잘못 가져오는 일을 자주 한다면 치매의 조기 증상일 수 있다. 자꾸 자신의 계획을 묻거나 혼자 할 수 있었던 일을 대신해 달라고 반복해서 부탁하는 상황에 이른다면 치매의 징후일 수 있다.
자신이 현재 있는 위치가 어디인지 헷갈리거나 이곳에 어떻게 도달했는지 모르겠다면 치매를 우려해야 할 수준이라고 생각된다. 상황에 맞는 적절한 단어가 곧바로 떠오르지 않는 건 누구에게나 있을 수 있는 일이지만 다른 사람의 이름을 잘못 부른다거나 사물의 이름을 잘 못 알고 있다거나 본인이 현재 무슨 이야기를 하고 있는지 감이 오질 않는 다면 병원을 찾아 방문하여 진단을 받아서 예방을 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전에 좋아했던 취미나 사교 생활조차 유지하기 힘들 정도로 귀찮아 졌다면 이때는 자신의 변화된 행동에 주목해야 할 시점이다. 평소 청결에 신경 썼던 사람이 갑자기 몸, 옷, 실내 환경이 불결해도 신경을 쓰지 않는다면 치매를 의심해 볼 일이다. 갑작스런 불결함은 치매 초기 증상을 알려주는 신호이다.
자주 쓰지 않는 TV리모컨이나 오븐 사용법이 헷갈려 다른 사람에게 묻는 것은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일이다. 하지만 평소 익숙하게 사용하던 전자기기의 단순한 사용법이 헷갈리기 시작했다면 이는 병적인 기억력 손실과 연관이 있을 수 있다. 화가 나거나 짜증이 날 수 있다. 그런데 규칙적인 일과에 사소한 변화가 생겼을 때도 극도로 화가 난다거나 우울증에 빠진다거나 불안하고 두려운 감정에 빠진다면 이때는 병원을 방문해 진단을 받아 보도록 하자.
'건강 > 건강관리 필수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침샘암 자가검진법 (0) | 2021.03.31 |
---|---|
아연 권장량을 꼭 먹어야 하는 이유 (0) | 2021.03.31 |
외식이 건강에 위험한 이유는 나트륨 섭취에 있다. (0) | 2021.03.30 |
무시하면 안되는 가슴 통증은 심장의 문제가 발생한 경고신호이다. (0) | 2021.03.29 |
거북목은 목디스크로 이어질 수 있다. 자세를 교정하여 예방하자. (0) | 2021.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