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건강 운동법

균형감각을 길러주는 운동법을 알아보자.

 

나이가 들수록 고유수용성 감각을 활성화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는 몸의 위치, 자세, 평형, 움직임을 인식하는 감각으로 흔히 운동 감각으로도 알려져 있다. 공간에서 위치를 감지하고 몸과 팔다리를 자유롭게 움직이는 온동감각을 유지하는 것은 일상생활은 물론 스포츠 경기에서 필수적이다. 야외 달리기를 할 때 풀밭인지 아스팔트 도로인지를 알아차리고 흙길에서 움푹 패인 곳과 돌맹이의 차이를 감지했다면 고유수용성 감각을 경험한 것이다. 

 

몸의 움직임, 위치, 행동을 감지하는 고유수용성 감각은 공간인식과  균형감각을 높여 부상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균형은 무게중심을 유지하는 능력으로 3가지 감각 시스템을 포함한다. 전정계, 시각계, 그리고 고유감각계 등, 고유수용계 감각은 나이, 부상, 질병으로 인해 악화되기 쉽다. 이로 인해 일상 생활이 어려워지거나 부상과 낙상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적절한 훈련을 바탕으로 고유수용성 감각을 향상시키고 평형감각을 높이면 다양한 환경에서 제어력을 유지하고 평형감각을 높이면 다양한 환경에서 제어력을 유지하고 몸을 똑바로 세우거나 움직일 수 있다.

 

외발 서기는 한 발로 서서 30초 동안 버티고 다른 쪽 다리로 바꿔 같은 자세를 취한다. 2~3회 반복한다. 외발로 서서 앞-옆-뒤쪽으로 차기는 다리를 엉덩이 너비로 벌리고 두 손을 허리에 놓는다. 한 발로 선 뒤 다른 쪽 발을 앞-옆-뒤쪽으로 들어올린다. 다리를 바꿔 실시한다. 2~3회 반복한다. 외발로 서서 물건 들어올리기는 한발로 선 뒤 다른 쪽 다리를 뒤로 뻗으면서 손으로 물건을 집어올린 뒤 몸을 일으킨다. 몸을 굽혀 물건을 원위치에 놓고 다리를 바꿔가며 3,4회 반복한다.

 

리버스 런지는 앞 방향이 아니라 뒤로 앉는 자세의 런지 운동을 8~12회 반복한다. 버드독은 네 발로 선 강아지 자세를 취한 뒤 새가 나는 것처럼 왼쪽 팔과 오른쪽 다리를 들어올린다. 자세를 2~3초간 유지한 후 다른 쪽 팔과 다리를 들어올리나. 8~12회 반복한다. 나무 자세는 다리는 엉덩이 너비로 벌리고 두 손은 가슴 앞에 모은다. 한쪽 발을 들어서 다른 쪽 다리의 허벅지 안쪽에 댄다. 자세로 10~20초 이상 유지한 뒤 다리를 바꿔 실시한다. 

 

줄타기는 왼발과 오른발 사이 간격을 두지 않고 걷는 운동, 왼발 바로 앞에 오른발 뒤꿈치를 붙이는 식으로 계속 걷는다. 3~4회 반복한다. 홍학 자세는 한 다리로 서 있는 홍학을 떠올린다. 다리는 엉덩이 너비로 벌리고 두 손은 허리에 올린다. 왼 쪽 다리로 서서 오른 쪽 무릎을 90도 각도로 구부린 상태에서 들어 올린다. 10~20초, 혹은 가능한 한 오랫동안 자세를 유지한 뒤 다리를 바꺼 실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