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NEWS

태풍은 북태평양발 열대성 저기압이다.

 

태풍은 발생 지역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불린다. 태평양 남서부에서 발생하여 우리나라 쪽으로 불어오는 것을 태풍, 대서양 서부에서 발생하는 것을 허리케인, 인도양에서 발생하는 것을 사이클론, 오스트레일리아 북동부에서 발생하는 윌리 윌리가 있다. 미국 중남부에서 많이 발생하는 소용돌이 바람인 토네이도는 태풍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태풍에 버금가는 피해를 발생시킨다.

 

 

세계기상기구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WMO는 열대 저기압 중에서 중심 부근의 최대 풍속이 33m/초 이상인 것을 태풍(TY0, 25~32m/초인 것을 강한 열대 폭풍(STS), 17~24m/초인 것을 열대 폭풍(TS), 17m/초 미만인 것을 열대 저압부(TD)로 구분하고 있다. 이렇게 4단계로 분류된 태풍 중 우리나라와 일본으로 오는 태풍은 두 번째인 열대 폭풍 이상을 일컫는다.

 

 

태풍은 수온 27℃ 이상의 해면에서 주로 발생하지만 가끔 온대 저기압에서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태풍은 우리에게 큰 피해를 입힐 때도 있지만 늘 해로운 것만은 아니다. 태풍은 중요한 수자원의 공급원으로서 물 부족 현상을 해소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태풍은 저위도 지방에 축적된 대기 중의 에너지를 고위도 지방으로 운반하여 지구 상의 남북 온도를 유지시켜 주고 해수를 뒤섞어 순환시킴으로써 바다의 적조 현상을 소멸시키고 있다.

 

 

태풍은 육지에 상륙하면 급격히 쇠약해진다. 태풍의 에너지원은 따뜻한 해수로부터 증발되는 수증기가 응결할 때 방출되는 잠열이기 때문에 동력이 되는 수증기의 공급이 중단되면 점점 약해진다. 즉 해수면 온도가 낮은 지역까지 올라오면 그 세력이 약해지며 육지에 상륙하면 더욱 수증기를 공급밪지 못하는데다가 지면 마찰 등에 의한 에너지 손실이 커져서 빠른 속도로 약화되며 태풍 중심 부근에는 맑고 바람이 약한 구역을 태풍의 눈이라고 한다.

 

 

태풍이 이동하고 있을 경우, 진행 방향 오른쪽의 바람은 강해지고 왼쪽은 약해진다. 오른쪽 반원에서는 태풍의 바람 방향과 이동 방향이 같아서 풍속이 커지는 반면, 왼쪽 반원에서는 그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어 상쇄되므로 상대적을 ㅗ풍속이 약화되기 때문이다. 태풍에 이름이 붙이기 시작한 것은 1953년부터인데 1978년까지는 여성의 이름을 붙였다가 그 이후부터 남자와 여자 이름을 번갈아 사용하였다.

 

새 천년부터는 서양식 태풍 이름 대신 아시아 14개국의 고유 이름으로 변경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것은 일본 동경태풍센터에서 부여하며 각 국가별로 10개씩 제출한 총 140개를 5개씩 28조로 편성하여 순차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북한에서는 기러기, 도라지, 갈매기, 매미, 메아리, 소나무, 버들, 봉선화, 민들레, 날개, 남한에서는 개미, 나리, 장미, 수달, 노루, 제비, 너구리 ,고니, 메기, 나비 등이 있다.

 

 

<어떤 금전적 지원도 받지않았으며 단순 정보제공을 위한 글입니다>

 

 

'IT >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성홍기  (0) 2020.09.15
지소미아(GSOMIA)  (0) 2020.09.12
열린민주당 공천 명단  (0) 2020.03.23
미래한국당 비례대표 명단(확정이 안된 명단이다.)  (0) 2020.03.17
더불어민주당 제주, 강원 국회의원 공천  (0) 2020.03.15